산업장관 "미 관세협상 시한 빠듯…6월 중순 이슈별 협의"
7월 8일 관세 유예 만료 앞두고 한미 실무협의 본격화
🇰🇷🇺🇸 한미 관세협상, 7월 8일 유예 시한 앞두고 "시간 빠듯"
⚖️ 6월 중순 이슈별 실무 협의, 대선 이후 고위급 접촉
💡 균형무역·비관세조치 등 6개 분야, 산업협력 통한 해법 모색
⚖️ 6월 중순 이슈별 실무 협의, 대선 이후 고위급 접촉
💡 균형무역·비관세조치 등 6개 분야, 산업협력 통한 해법 모색
1. 협상 시한과 일정
-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5월 16일, 미국과의 관세협상 시한이 7월 8일까지로 매우 빠듯하다고 밝혔습니다.
- 실무단의 이슈별 협의는 6월 중순에 진행될 예정이며, 한국 대선 이후 고위급 접촉으로 협상 상황을 점검할 계획입니다.
- 7월 8일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, 유예됐던 상호관세(25%)가 다시 발효될 수 있어 시한 내 합의가 매우 중요합니다.
- 정치 상황(대선 등)으로 협상 일정이 다소 지연될 수 있지만, 미국도 이를 이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
2. 협상 주요 의제와 전략
- 한미 대표단은 균형무역, 비관세조치, 경제안보, 디지털 교역, 원산지, 상업적 고려 등 6개 분야를 중심으로 본격 협의에 돌입합니다.
- 한국은 미국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는 국가이자, 미국 제조업 재건의 중요한 파트너임을 강조하며 산업협력의 비전을 협상 카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.
- 관세 협상은 단순한 무역수지 조정이 아니라, 조선·에너지·반도체 등 첨단산업과의 협력을 통한 건설적이고 미래지향적 해법 모색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
3. 향후 전망 및 실전 체크포인트
- 다음 주 미국에서 2차 기술 협의를 시작, 6월 중순 실무협의 후 고위급 회담을 통해 최종 조율에 나설 예정입니다.
- 협상 시한이 촉박한 만큼, 7월 8일 전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25% 관세가 다시 부과될 수 있어 실무·정치적 총력 대응이 필요합니다.
- 미국도 한미 산업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어, 실질적 협상 진전이 기대되고 있습니다.
FAQ – 자주 묻는 질문
- Q. 한미 관세협상 시한은 언제까지인가요?
A. 공식 유예 시한은 2025년 7월 8일까지입니다. 이때까지 합의가 없으면 관세가 다시 부과됩니다. - Q. 6월 중순 실무협의의 주요 의제는?
A. 균형무역, 비관세조치, 경제안보, 디지털 교역, 원산지, 상업적 고려 등 6개 분야입니다. - Q. 정치 상황이 협상에 영향을 주나요?
A. 대선 등 정치 일정으로 일정이 다소 지연될 수 있지만, 미국도 이를 이해하고 있습니다. - Q. 합의가 안 되면 어떻게 되나요?
A. 7월 9일부터는 유예됐던 25% 관세가 다시 부과될 수 있습니다.
4. 요약
한미 관세협상은 7월 8일 유예 시한을 앞두고 6월 중순 실무협의, 고위급 접촉을 통해 합의 도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균형무역·비관세조치 등 6개 분야에서 산업협력을 중심으로 실질적 해법을 모색하며, 합의가 불발될 경우 25% 관세가 다시 부과될 수 있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